인문 지문은 내용 면만 보면 법을 다루는 사회 지문이나 난생 처음보는 용어가 나오는 과학 지문보다 훨씬 쉽습니다.
하지만 킬러 문항은 인문 지문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죠.
인문 지문의 핵심은
1. 빠르게 읽어 뒤에 나올 정보량이 많은 지문을 읽을 시간을 확보하고
2. 정확하게 읽어 킬러문항을 해치운다!
이 두가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어떻게 하면 인문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1. 인물들의 주장 나열: 키워드로 파악하기
기본적으로, 인문 지문은 여러 사상과 주장들의 나열식 구성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최근에 나왔던 2024 수능의 인문 지문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한비자가 나오고, 왕안석, 오징, 설혜가 나옵니다.
첫번째로 해야하는 것은 각각의 인물에 동그라미를 치고 인물들의 이름을 써놓는 것입니다.
그래야 흐름을 알 수 있겠죠.
두번째로 해야할 일은 각 인물의 "핵심 주장"을 써놓는 겁니다.
각 인물이 노자의 '도'를 어떻게 생각했는가.
2. 상충하는 주장: 각 인물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생각하자
이러한 인문 지문에는 거의 '반드시' 인물들의 주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묻는 문제가 나옵니다.
위의 단계에서 키워드를 정확하게 파악했다면 우리는 바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후적인 결론이 아닙니다.
애초에 읽을 때부터 이들의 차이는 뭔지, 공통점은 무엇인지에 주목하여 읽어야 합니다.
오징이 "노자의 도를 근원적인 불변하는 도"라고 보았다는 부분을 읽을 때
한비자와 왕안석은 "노자의 도를 가변적"이라고 보았다는 것을 떠올리고
차이점이네? 라고 생각해야합니다.
3. 두 가지 입장: 새로운 인물은 어느 편인가?
인문 지문의 공통점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바로 '보기'에서 새로운 인물이 나온다는 점입니다.
그 새로운 인물은 기존의 사상가일 수도 있고, 지나가는 행인이 느낀 점일 수도 있죠.
문제를 푸는 우리는 이 인물이 지금까지 나온 사람들 중 누구의 주장에 찬성하는 지 판단해야 합니다.
보기를 읽으면서 이걸 파악했다면 문제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4. 정리
정리를 해봅시다.
국어 비문학 인문 지문을 읽을 때는
1. 인물들의 주장을 키워드로 나열하고
2. 각각의 주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3. <보기>에서 새로운 인물이 나왔을 때 어느 편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문제로 들어가기 이전에 상당부분 이해를 끝내야 한다는 것이 중요 포인트입니다.
이후 기술할 과학 지문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새로운 지문에 이 방법을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질문이나 추천할 다른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국어 읽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문학 읽기] 2023 6모 국어 혈액응고 지문 (13번) (0) | 2024.07.23 |
---|---|
[현대시] 김수영 <나비의 무덤> 해석 (0) | 2024.07.18 |
[비문학 읽기] STM 지문으로 보는 기술지문 읽는 법 (0) | 2024.07.17 |
[고전산문] 불이당기(不移堂記) 해석 & 내용 (0) | 2024.07.17 |
[현대시] 김기림 <금붕어> & <바다와 나비> 해석 (0) | 2024.07.15 |
[수능특강 독서 과학] 칸토어와 대각선 논법 (0) | 2024.06.19 |
[2025 6월 모의고사] 에이어와 프레게-기치 문제 (1) | 2024.06.14 |
[수능특강 독서 과학] 심슨 지수와 다양도 지표 (1) | 2024.06.12 |